2024년 신간 《그 산에 그 꽃이 핀다》가 출시되었다.
‘산’이라는 캔버스 속
‘꽃’이라는 팔레트
아름다운 천연의 빛깔을 만나 보자.
필자의 산행과 여행에는 늘 들풀꽃나무와 함께했지만
이번 《그 산에 그 꽃이 핀다》에서는 특히나 그 산에서 피어나는 야생화에 초점을 맞췄다.
몇 년 뒤면 공항이 생겨 접근성이 좋아질 울릉도는 특산식물과 희귀식물의 집합체로
그 모든 것이 고유종과 희귀함으로 연결된다.
이른 봄의 기운을 느낄 수 있는 가덕도와 비금도는 바다를 낀 그림 같은 풍경에 압도당하게 된다.
가덕도 역시 신공항이 생길 지역이라 달라질 모습에 대한 기대와 우려도 함께 뒤따르게 된다.
야생화로 유명한 석병산과 보현산, 덕유산과 소백산, 화악산 등 그 산지마다의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 이야기 그리고 미스터리한 숲, 높은 산지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식생이 즐비한
평창 대덕사 계곡도 담겼다.
- ‘책을 내면서’ 중
어느 곳 하나 소중하지 않고 야생화 만발하지 않은 곳이 없지만
그래도 가장 많은 비중을 두어 엮은 것은 울릉도다.
성인봉과 나리분지, 그리고 독도와 관음도 일대를 4월과 6월 두 차례 다녀오며
육지에서는 접하지 못하는 울릉도만의 특수한 매력을 가득 담을 수 있었다.
6월의 관음도에는 섬 전체가 하얗게 보일만큼 섬바디와 괭이갈매기가 수를 놓는다.
울릉도는 섬 전체가 특산식물이고 희귀식물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만큼
내륙에서 접할 수 없는 고유종과 희귀한 식생의 연속이다.
개종용, 울릉산마늘, 큰연영초, 큰두루미꽃, 너도밤나무, 헐떡이풀, 말오줌나무, 우산마가목,
섬말나리, 섬바디, 우산제비꽃, 울릉제비꽃, 넓은잎쥐오줌풀, 섬쥐똥나무, 섬현삼, 섬시호, 섬꼬리풀..
등등 다 나열이 쉽지않을 정도다.
내륙의 노루귀보다 잎도 꽃도 큼지막한 섬노루귀는 물론 큰연영초도 소개한다.
이들이 열매 맺은 모습을 보기 위해 6월에 다시 찾은 성인봉 등로에서
반가운 종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륙의 연영초와 울릉도의 큰연영초 차이점과 사진 등도 곁들여 비교해보기 좋다.
울릉도 하면 떠오르는 호박엿이 원래는 호박엿이 아닌 이 나무 이름이 잘못 알려진 유래와
몇년전만 해도 군락을 이뤄 꽃을 피우던 주름제비란이 최근 급감한 이야기도 전한다.
풍랑주의보가 내려지고 배가 뜰 수 없어 하루를 더 묶게 되면서
보지 못할 뻔했던 헐떡이풀을 어렵게 만난 사연도 전한다.
멸종위기종 만큼이나 만나기가 어려워진 우산제비꽃과
울릉도 주민에게 한시적으로 채취가 허용된 울릉산마늘에 대한 이야기
나리분지와 섬말나리 이름이 생기게 된 이야기 등도 실렸다.
모든게 새롭고 신비한 울릉도.. 울릉도만으로 책 한권을 따로 만들어야 할만큼 이야기가 풍성하다.
영천 보현산 편에서는 보현산의 대표 야생화라 해도 손색이 없는 나도바람꽃을 소개한다.
나도바람꽃의 최대 자생지는 영천 보현산이 아닐까 싶을만큼
온 숲이 하얗게 보일 정도로 많이 퍼져 있다.
* * 그동안은 경북에 자생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2022년 5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복주머니란이 보현산에서 발견되었다는 지역 뉴스가 보도되기도 했다.
보현산의 복주머니란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영천산 노란 물결의 향연, 높은 산지에서 볼 수 있는 왜미나리아재비가 군락을 이루고
그와 더불어 피나물과 노랑제비꽃이 끝없이 펼쳐져 황금 물결을 연출한다.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피나물과 매미꽃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비교해 본다.
화악산은 무엇보다 참닻꽃을 만날 수 있는 우리나라 거의 유일한 장소가 되었다.
참닻꽃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자 산림청의 적색목록 위기종에
지정되어 있을 만큼 귀하신 몸이다.
예전엔 닻꽃으로 불려졌는데 유전자 분석 결과 이 닻꽃은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신종으로 밝혀져 참닻꽃으로 국명이 변경되었다.
수도권에서 야생화 많기로 유명한 화악산 편에서는 혼동하기 쉬운 꽃들을 비교해봤다.
차이점과 비교를 위해 다른 계절이나 타산지에서 찍은 사진을 삽입하기도 했다.
웬만한 여름 야생화는 다 만날 수 있을만큼
화악산은 야생화 산지라는 수식에 걸맞게 수많은 여름 야생화를 품고 있다.
아직 봄이라 채 말하기도 어려운 2월과 3월에는 봄꽃들이 이제야 겨우 개화를 시작하고 있다.
그 계절엔 가덕도와 1004의 섬 비금도에서 여유로움을 즐겨보아도 좋겠다.
신공항으로 변화의 바람 앞에 선 가덕도,
그 가덕도의 2월엔 이르게 피어나는 개복수초가 노랗게 물들이고 있다.
비금도 그림산은 육중한 암봉과 염전 그리고 막 깨어나고 있는 제주백서향과 새끼노루귀
등도 만나볼 수 있다.
희귀식물의 보고, 이 제목이 딱 어울리는 석병산이다.
석병산은 한 계절만으로 표현하기 안타까운 마음이 있어
4월의 석병산 그리고 꽃쟁이들이 가장 많이들 찾는 여름 야생화 편으로 나눠 구성했다.
특히나 여름철 석병산은 말 그대로 희귀식물의 교본이고 집합소를 이룬다.
4월은 백두대간 삽당령부터 백복령까지의 여정으로 그 길에서 피어난 야생화에 촛점을 맞췄고
여름엔 정상부 석회암 지대에서 자생하는 야생화를 주로 실었다.
무엇 하나 허투로 볼 수 없을만큼 석병산 석회암지대에서 피어나는 야생화는
평소 산행을 많이 다녀도 만나기 어려운 귀한 존재들이다.
개나리나 산개나리와 비슷한 만리화부터 붉은대극으로 알고 있었던 개체가 낭독으로 밝혀진 이야기.
여름이면 흔하게 볼 수 있는 개시호와는 달리 정말 보기 힘들어진 시호가 자생을 하고
등대시호는 물론 벌깨풀, 나도여로, 두메닥나무, 자병취, 사창분취, 가는대나물, 개회향,
솔체꽃, 백리향, 돌마타리, 큰제비고깔 등을 모두 한 장소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 석병산의 진면모가 담겼다.
적색목록 취약종과 위기종에 속해 있을만큼 접하기 어려운
벌깨풀과 가는대나물은 석병산이 왜 석병산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높은 바위틈에 자라고 있어 까치발을 하고 어렵게 담은만큼 보람이 큰 녀석들이다.
석병산에서도 가장 귀한 이는 바로 나도여로다.
나도여로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지정한
적색목록 위급으로 아주 보기 어렵고 정말 귀한 꽃이다
** 식물의 분류체계에 있어서는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본으로 따랐지만,
타 기관의 연구 결과로 밝혀진 분류체계를 따른 것도 있다.
두 분류체계를 같이 표기한 것도 있음을 밝혀 둔다.
환경부와 산림청에서 지정 관리하는 국가보호종에 대해서는 첫 목차인 비금도 식물 편에 실었다. -머리말 중에-
소백산 편에서는 소백산 깃대종인 모데미풀을 비롯 할미밀망과 사위질빵의 차이점,
애기괭이밥, 괭이밥, 들괭이밥, 큰괭이밥 등의 차이점도 살펴본다.
금강애기나리가 금강죽대아재비로 불리는 이유,
값비싼 부케로 사랑 받는 꽃, 은방울꽃 이야기와 만나기 힘든 국화방망이도 담겼다.
그 이외에도 수십종의 5월 말 야생화 이야기가 함께한다.
덕유산(백두대간 빼재~동엽령) 편에서는 대마참나물과 큰참나물, 참나물을 비교하고
비슷해 헛갈리기 쉬운 붓꽃과 꽃창포 이야기도 함께한다.
일상에서 만나는 수국과 불두화, 산중에서 만나는 산수국과 백당나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덕유산의 여름 야생화에 대해선 굳이 일일이 나열하지 않아도 될만큼
천상의 화원이라 하여도 과하지 않겠다.
예전엔 쉬쉬하던 곳이었지만
야생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제 많이 알려진 장소가 되었다.
신비로운 평창 대덕사 계곡과 금륜산이다.
물매화가 계곡을 따라 안개꽃만큼이나 흐드러지게 피고,
원예화만큼 꽃이 크고 예쁜 솔체꽃을 비롯 병아리풀과 솜다리, 백부자도 눈맞춤 할 수 있다.
그동안 왜솜다리로 알려지던 개체는 이젠 솜다리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내용도 실렸다.
**주로 가을철에 많이 찾는 곳이지만 7월에 피어나는 연잎꿩의다리의 귀한 자태도 담았다.
연잎꿩의다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고산의 바위지대에서 손에 꼽을 만큼
아주 드물게 볼 수 있는 귀한 아이지만, 이 계곡과 숲에 자생을 하고 있어
더욱이나 주목받는 장소가 되었다
"배암 소굴이어라~ 사진이고 뭣이고 내 정신이 아니어라
이 산에 오르다 열 번 넘게 뱀을 보았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과장도 허튼 소리도 아니었다.."
멸종위기종 백부자를 알현하려다 배암 때문에 혼비백산한 이야기를 전하고
이 계곡과 비슷한 귀한 식생들이 자라는 몇 군데 장소도 일러주고 있다.
책을 내고나면 늘 아쉬움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2024년 신간《그산에 그꽃이 핀다》는 그런 아쉬움을 채우려 최대한 불필요한 요소들은 줄이고,
나날이 달라지는 식물체계에 대해 게을리하지 않으려 노력했다.
무엇보다 야생화 이야기에 집중하려 했다.
** 블로그를 운영하지 못해 방문객은 거의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혹시라도 방문주신 님들 계시다면 반갑고 감사한 마음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