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84)
대극. 낭독-대극과 대극속 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은 시원한 풍경과 산길, 역사와 문화 유적 등도 함께해 다채롭고 풍성한 이야깃거리가 담겼다.https://0709im.tistory.com/784 2025년 신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산과 여행지 등 숨은 명소가 너무나 많다.그곳에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가 더해지는 순간 더욱이나0709im.tistory.com ~~~~~~~~~~~~~~~~~~~~~~~~~~~~~~~~~~~~~~~~~~~~~~~~~~♥♣ **몇 년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이름을 제대로 불러주지 못했던 낭독이다. 대극과 ..
작약, 백작약, 산작약, 모란-미나리아재비과 작약속 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우리나라에는 산과 여행지 등 숨은 명소가 너무나 많다.그곳에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가 더해지는 순간 더욱이나 특별한 장소가 된다.이번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에서는 희귀식물, 특히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자생하는 산과 여행지 위주로탐방을 하였고 싣게 되었다. 목차는 해발 높은 산에 올라야 볼 수 있는 멸종위기종과 가벼운 트레킹 정도로도 볼 수 있는 탐방지로 나눠 구성했다. **식물의 분류체계에 있어서는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본으로 따랐지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분류체계를 따른 것도 있고 둘을 같이 표 기한 것도 있음을 일러둔다.환경부와 산림청에서 지정·관리하는 국가보호종에 대해, 그리고 문화재 지정번호에 관한 이야기, ..
백미꽃 보기가 하늘의 별만큼이나 어렵다. 민백미꽃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우리나라에는 산과 여행지 등 숨은 명소가 너무나 많다.그곳에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가 더해지는 순간 더욱이나 특별한 장소가 된다.이번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에서는 희귀식물, 특히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자생하는 산과 여행지 위주로탐방을 하였고 싣게 되었다. 목차는 해발 높은 산에 올라야 볼 수 있는 멸종위기종과 가벼운 트레킹 정도로도 볼 수 있는 탐방지로 나눠 구성했다. **식물의 분류체계에 있어서는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본으로 따랐지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분류체계를 따른 것도 있고 둘을 같이 표 기한 것도 있음을 일러둔다.환경부와 산림청에서 지정·관리하는 국가보호종에 대해, 그리고 문화재 지정번호에 관한 이야기, ..
갈래꿀풀(꿀풀과 꿀풀속) 2025년 신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산과 여행지 등 숨은 명소가 너무나 많다.그곳에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가 더해지는 순간 더욱이나0709im.tistory.com ~~~~~~~~~~~~~~~~~~~~~~~~~~~~~~~~~~~~~~~~~~~~~~~~~~♥♣ **꿀풀과 갈래풀꽃의 비교 흔히 보는 기본형의 꿀풀. 꿀풀보다 잎은 좁고 가늘고, 깊게 갈라지는 갈래꿀풀이다. 갈라지지 않는 녀석들도 있다.주로 전남과 경남 바닷가 주변 숲에 서식한다.
구슬댕댕이, 댕댕이나무(인동과 인동속), 댕댕이덩굴(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속) 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은 시원한 풍경과 산길,역사와 문화 유적 등도 함께해 다채롭고 풍성한 이야깃거리가 담겼다.https://0709im.tistory.com/784 2025년 신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산과 여행지 등 숨은 명소가 너무나 많다.그곳에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가 더해지는 순간 더욱이나0709im.tistory.com ~~~~~~~~~~~~~~~~~~~~~~~~~~~~~~~~~~~~~~~~~~~~~~~~~~♥♣ **댕댕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댕댕이덩굴, 구슬댕댕이, 댕댕이나무다. 댕..
괴불나무, 청괴불나무, 홍괴불나무, 섬괴불나무, 왕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올괴불나무,인동덩굴,길마가지나무 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우리나라에는 산과 여행지 등 숨은 명소가 너무나 많다.그곳에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가 더해지는 순간 더욱이나 특별한 장소가 된다.이번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에서는 희귀식물, 특히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자생하는 산과 여행지 위주로탐방을 하였고 싣게 되었다. 목차는 해발 높은 산에 올라야 볼 수 있는 멸종위기종과 가벼운 트레킹 정도로도 볼 수 있는 탐방지로 나눠 구성했다. **식물의 분류체계에 있어서는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본으로 따랐지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분류체계를 따른 것도 있고 둘을 같이 표 기한 것도 있음을 일러둔다.환경부와 산림청에서 지정·관리하는 국가보호종에 대해, 그리고 문화재 지정번호에 관한 이야기, ..
옻나무, 개옻나무, 붉나무 2025년 신간,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 출간되었다.우리나라에는 산과 여행지 등 숨은 명소가 너무나 많다.그곳에 시그니처 같은 야생화가 더해지는 순간 더욱이나 특별한 장소가 된다.이번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에서는 희귀식물, 특히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자생하는 산과 여행지 위주로탐방을 하였고 싣게 되었다. 목차는 해발 높은 산에 올라야 볼 수 있는 멸종위기종과 가벼운 트레킹 정도로도 볼 수 있는 탐방지로 나눠 구성했다. **식물의 분류체계에 있어서는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본으로 따랐지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분류체계를 따른 것도 있고 둘을 같이 표 기한 것도 있음을 일러둔다.환경부와 산림청에서 지정·관리하는 국가보호종에 대해, 그리고 문화재 지정번호에 관한 이야기, ..
박쥐나무(박쥐나무과 박쥐나무속), 산겨릅나무(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5~6월에 꽃이 피는 박쥐나무(박쥐나무과 박쥐나무속)다. 3~5갈래로 갈라지는 잎이 박쥐의 펼쳐진 날개를 닮아 생긴 이름이다.꽃잎은 도르르 뒤로 말리고 쭉 내민 꽃술이 사랑스러운 꽃이다. 8~9월에 익는 박쥐나무 열매. 박쥐나무와 우측 단풍잎 모양의 단풍박쥐나무(박쥐나무과 박쥐나무속) .단풍박쥐나무의 잎은 손가락처럼 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얼핏 잎을 보고 박쥐나무와 헛갈릴 수 있다. 열매 맺은 산겨릅나무(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다. 넓은 잎은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노란색 꽃은 총상꽃차례로 15~20개 정도가 달린다. 설악산이나 태백산 등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아이들은 그래도 멀쩡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온전한 나무를 본 적이 없다.일부러 키우는 것이 아닌 이상, 주로 백두대간을 따라 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