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리리님)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
2025년을 맞아 효빈님의 신간이 출시되었다.
풍경과 산행이 어우러진 「멸종위기 야생화 탐방」이다.
멸종위기종과 희귀식물에 관한 이야기지만 멸종위기종이 자생하는 산지와 탐방지를 두루 소개하고
제목에서처럼 풍경과 산행 이야기도 어우러져 행여 조금 딱딱할 수도 있는 식물 이야기에 흥미와 재미를 더해준다.
1년동안 얼마나 발품을 팔았을까 그리고 공부하고 노력한 흔적이 고스란히 느껴지기도 한다.
볼거리가 너무 많고 다양한 야생화 이야기가 실려 있지만 그 탐방지를 대표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위주로 포스팅하였다.



차례는 높이 올라야 볼수 있는 멸종위기종 탐방지(험준한 산의 갈채)와 가볍게 트레킹 정도로도 볼 수 있는 탐방지(잔잔한 숲길의 속삭임)로 1부와 2부로 나눠 구성되었다.




가야산 편에서는 멸종위기 야생화를 두 종 소개하는데 정말 만나기 어렵다는 구름병아리난초와 한라송이풀에 관한 이야기다.
한라송이풀을 두고서 다른 이름으로 착각하거나 불리게 된 이유, 구름병아리난초가 점차 사라져가는
안타까운 소식 등 이 다양한 볼거리 등과 함께 소개된다.
산오이풀과 백리향이 가야산 풍경과 어우러진 모습도 장관이다. 우리가 흔히 원추리라 부르거나 이름을 잘못 불러주고 있었던 원추리 종류에 대해서도 세세히 공부하는 계기가 되었다.

광릉요강꽃과 애기송이풀을 볼 수 있는 가평/포천의 국망봉 편에서는 큰앵초를 소개하며
앵초와 설앵초에 대한 차이점과 자생지 등도 곁들여준다.
요즘 산행 중에 앵초 보기가 큰앵초 보기보다 더 어려워졌다는 저자의 말에도 공감이 되는 대목이다.



저자 말대로 애기송이풀은 점차 남하하면서 저지대 계곡으로 퍼져가고 있는 상황이지만
유일하게 정상에서 만날 수 있는 곳은 국망봉이지 싶다. 흰애기송이풀도 소개하고 자세한 내력에 대한 이야기도 담겼다. 국망봉이 유명세를 타는 이유중 하나는 광릉요강꽃 때문이기도 하다.
꽃이 크고 아름다워 불법채취해 가는 대표적인 야생화로서 10여년 만에 찾은 저자 눈 앞에 펼쳐진 도난 흔적에 대한 안타까움과 여러 시각에 대한 이야기도 담겼다.

대덕산은 나도 여러번 가본적이 있어 더욱 반가움을 준다.
그러나 같은 시기 같은 길을 걸었지만 내 눈에는 보지이 않던 야생화가 이리도 많이 담겼으니
나는 뭘 본 것이여..ㅠ




평소에 많이 접하는 큰구슬붕이 대신 정상부 햇살이 잘 드는 초지엔 구슬붕이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는 내용과 구슬댕댕이와 선백미꽃, 지치 등이 군락을 이루고 태백산 권에서 많이 접하는 꽃쥐손이 및 노란장대도 볼 수가 있다. 천상의화원이라 이름 붙인 이유가 있는 대덕산이다.
대덕산 편의 가장 핵심은 날개하늘나리다. 보기 어렵고 전국적으로 자생지가 몇 안되다보니하늘나리를 착각해 날개하늘나리라 잘못 올려둔 블로그나 카페가 많다는 저자님의 말에도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6월과 7월 몇차례 다녀오고도 날개하늘나리는 보지 못했으니 말이다.
더군다나 하늘나리 역시 자주 접할 수 없으니 제대로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하늘나리를 날개하늘나리라 생각할 수도 있겠다 싶다.




야생화 많기로 유명한 선자령 편에서는 공원에서나 보았던 분홍바늘꽃이 눈길을 끌고
잔대와 모시대 종류에 대해서도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준다.
특히 모시대와 도라지모시대의 차이점, 원추화서와 총상화서가 무엇인지 사진으로 정확히 이해시켜 준다.
겉할기 식이 아닌 야생화나 식생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보시라 권하고 싶다.
구별이 어려워 포기했었던 갈퀴나물과 벌완두의 차이점, 톱풀과 산톱풀의 차이도 알게해준다.
그외에도 너무나 다양한 야생화 이야기가 실려 있다.



가장 고마운 내용 중 하나는 선자령의 시그니처라 할 수 있는 애기앉은부채를 소개하며
그동안 앉은부채라 알려졌던 종에 대해 새로운 이름이 붙여졌다는 것도 알게된다.
아~~그동안 나는 자랑스럽게 앉은부채라 잘난체 하였었는데 언제 이름이 바뀌었지~~ㅠㅠ
겉할기식으로 야생화 이름만 외운 나의 한계다.
선자령에서 가장 귀한 제비동자꽃에 대한 이야기로 선자령 이야기는 끝이 난다.




2부는 가볍게 트레킹 정도로도 볼 수 있는 탐방지를 실었는데 대청도는 그 풍경이 으뜸이라 생각한다.
대청부채, 당잔대, 금방망이, 애기실부추 등 야생화가 수를 놓지만
서풍받이와 농여해변, 조각바위 언덕, 미아동해변, 광난두해변 등 볼거리가 풍부한 대청도다.



입암산은 아직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들도 많이 있을텐데 내장산 국립공원에 속한 산으로
입암산성의 역사와 이 산을 찾게 된 가장 결정적인 이유, 노랑붓꽃에 대한 이야기가 실렸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노랑붓꽃은 금붓꽃과 구별하기 어려울만큼 흡사하다. 그 구별법과
소제목인 왕괴불나무와 개구리발톱 등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야생화가 담겼다.




세계적 여행지 진안 마이산은 탑사며 쌍봉(암마이봉, 숫마이봉), 화엄굴, 은수사, 역고드름, 탑영제
등 자연의 걸작 같은 풍경은 물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줄사철나무와 청실배나무 등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도 많이 담겼다.
열매가 바나나와 으름을 닮은 마이산의 대표적인 멸종위기종 그리고 저자의 어릴때 추억이 소환되는
자귀나무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수도권에서 야생화 많기로 유명한 남한산성은 야생화 공부하기에 최고의 교과서가 된다.
멸종위기종 백부자를 시작으로 큰꿩의비름이 성벽을 가득 채우고 큰제비고깔과 청닭의난초, 병아리풀, 자주조희풀 등이 남한산성의 자부심을 더해준다.
큰꿩의비름 군락을 보려면 어느 방향으로 가야하는지도 일러주고, 여름철 성곽을 따라돌다보면 남한산성은 야생화의 집합소라는 얘기에 공감을 표하게 된다.




한탄강 편에서는 7월과 9월로 나눠 귀함의 대명사가 된 꽃장포와 분홍장구채를 소개하고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한탄강 일대와 주상절리길에 대해서도 함께 걸어본다.
재인폭포, 비둘기낭폭포, 고석정 등 볼거리가 풍부하고, 승일교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 이름 유래에 대해서도
흥미롭게 다가온다.

최소한으로 줄여 포스팅을 하지만 볼거리 너무나 많고 유익한 책이다.
멸종위기 야생화가 자생하는 산지 및 탐방지에 대한 이롭고 도움이 될만한 내용도 가득하다.
꽃만 크게 담는 보통의 야생화 사진과 달리 구별이 까다로운 식물들을 위해 잎까지 담으려 한 노력도 돋보인다.
야생화 공부를 하고 싶은 분이라면, 그리고 산과 여행, 역사 등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꼭 한번 보시라 권하고 싶다. 매년 책을 사보고 있지만 단연 이번 신간에 가장 공을 들이지 않았나 싶다.
